외교-동포 정책 기존대로
조기대선 확정된 것 없어
지난 9일 진행된 이번 대통령 탄핵 가결로 한인들이 가장 우려하는 점은 국방 및 외교분야의 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들은 우선 국정공백 사태에 따른 영사관 민원업무에 대해서도 의문을 보였다. 이에 대해 애틀랜타총영사관측은 “탄핵안 가결에 관계없이 현재 영사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민원 업무 서비스 제공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면서 “내년초 선거영사 파견 및 대선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도 아직까지 언급할 내용은 없다”고 전했다.
국방부는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는 만큼 북한이 국내 상황을 호기로 오판하지 않도록 흔들림없이 군 본연의 임무에 매진할 것이다”면서 “하지만 대북 정보 감시 태세인 워치콘이나 전투 준비 태세인 데프콘이 상향되지는 않을 것이다”고 전했다.
이날 국방부는 오는 16일 서울에서 한-미-일 안보회의(DTT)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으며,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3국의 공조방안과 군사교류 및 협력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외교부의 경우 탄핵당일 오후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연합 등 주요국 대사들을 서울 외교부 청사로 불러 탄핵 관련 국내 정세를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윤병세 외교장관을 비롯한 외교부 간부들은 탄핵 상황과 함께 기존 우리 정부의 외교정책 기조가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설명했다. 또한 외교부는 당분간 윤장관 중심으로 외교 현안을 관리할 방침이다. 하지만 ‘최순실 사태’이후 정상 외교를 중심으로 본격화된 외교공백 사태는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김언정기자 kim7@atlantachosun.com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