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 첫 여론조사...26%만 '전면폐지', 30%는 확대 주장
오바마케어 전면폐지에 찬성하는 미국인은 26%에 불과했다.
의료제도 개선을 위한 비영리단체 카이저 재단(Kaiser Family Foundation)이 오바마케어의 전면폐지를 원하는 사람은 26% 였다는 여론조사결과를 지난 1일 발표했다.
오바마케어 폐지는 트럼프 행정부의 최우선추진 공약 가운데 하나로서, 최근에도 트럼프 당선인은 보건복지부장관에 오바마케어 반대론자인 조지아출신 톰 프라이스 의원을 지명했었다.
그러나 카이저재단이 대선종료 후 처음 실시해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 오바마 케어를 전면 폐지해야 한다고 답한 국민들은 4명중 1명꼴에 그쳤다.
이 중에 17%는 축소해서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조사에 응한 30%는 트럼프 행정부가 오바마케어를 오히려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42%는 대체 플랜을 확정한 후 연방의회가 폐지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결국 지지층이 빈약한 상황에서 트럼프 차기행정부가 오바마 케어 폐지와 대체 입법을 초반부터 강행하는 것을 무리수로 보인다.
또한 오바마 케어를 폐지하면 현재 이를 통해 보험혜택을 보고 있는 2000만명의 국민들이 갑자기 의료혜택을 상실하게 돼 엄청난 혼란과 반발을 불러올 것으로 보험 관계자들은 경고한 바 있다.
한편, 공화당 지지자 가운데 오바마케어의 전면폐지를 원하는 사람의 비율도 선거 전인 지난달의 69%에서 52%로 17%나 떨어졌다.
관계자들은 트럼프 차기 행정부와 의회가 적절한 대안을 마련해 건강보험 공백이 없는 상태에서 일단의 조치를 단행하려면 수년이 걸릴 것을 예상하고 있다.
김중열 기자 jykim@atlantachosun.com
카이저 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