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진 | ![]() 최재휴 | ![]() 박승로 | ![]() 신윤일 | ![]() 심호섭 | ![]() 김정범 |
![]() 박영권 | ![]() 오흥수 | ![]() 김덕진 | |||
- 전체
- 주필칼럼
- 통통통칼럼
- 한방칼럼
- 삶의 여울목
- 빛과 소금
- 김종구의 경제코너
- 믿으며 살며
- 의학칼럼
- 해충없는 우리집
- 속 시원한 이민법
- 한방과 건강
- 마케팅칼럼
- 기자수첩
- 사설
- 추천도서
- 골프칼럼
- CPA 코너
- 부동산칼럼
- 대답없는 질문
- 생각의 숲
- 독자기고
- 한방 Q&A
- 기타 칼럼
독자기고 부시의 공동 성명을 보며
2008.08.08 09:49
신문발행일 | 2008-08-09 |
---|

|||| 약 1개월 전 일이다. 아틀랜타의 원로목사 몇 분이 식사를 함께 나누게 되었다.
부시 대통령의 대북정책에 대한 것이 화제가 되었는데 모두 염려하는 말이 부시 대통령이 임기 중에 6자 회담 통해서 핵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면 북한과
외교관계를 서두를 가능성이 보인다. 북한도 현재 미국과의 국교를 가지기를 바라고 있기 때문에 신속한 외교관계의 수립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만일 미국이 북한의 핵 무기를 보유한 채,그리고 북한이 인권문제의 개선 없이 외교관계를 수립한다면 그것은 대한민국과 미국에 큰 재앙이 될 것이다 란 점을 매우 염려를 했다.
그런데 지난 6일 서울에서 미국의 부시 대통령이 이명박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발표한 공동성명을 보고 우리는 안도의 숨을 내쉬며 크게 환영하게 되었다 이 공동성명에서 “ 양 정상은 북한이 비핵화 2단계 조치를 조속히 완료하고 비핵화 3단계 조치를 통해 모든 핵무기와 현존하는 핵 계획의 완전한 포기를 이행할 것을 촉구하였다. ------양 정상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어 한반도 및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에 동참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수 있음을 분명히 하고, 북한의 인권 상황 개선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 하면서, 관계 정상화 과정에서 북한 내 인권 상황 개선의 의미 있는 진전이 이루어져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 하였다”
우리는 그간의 한미 정상화담의 공동성명을 여러 차례 들었으나 북한의 인권문제를 명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앙일보는 오늘 사설에서 “가장 큰 성과는 북한에 대한 단호한 입장을 두 정상이 일치된 목소리로 냈다는 점이다. 모든 핵무기와 핵프로그램의 포기를 촉구했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제대로 된 검증체계가 없으면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제외가 여의치 않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무엇보다 ‘북한과의 관계정상화 과정에선 북한 내 인권상황에 의미 있는 진전이 있어야 한다’는 합의가 주목된다. 북한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핵 문제 해결과 인권은 별개라는 점을 두 정상이 분명히 한 것이기 때문이다” 라 했고 환영했다.
지난 수년간 재미 기독교인들은 KCC 라는 단체를 전 북미에 조직하여 북한의 인권개선 문제와 중국에 피난 온 북한 동포들에 대한 인권문제를 정부와 국회에 계속 진정도하고 호소도 해왔다. 미국의회는 2004년 북한 인권 관련 예산을 세우고 탈북자들의 미국 망명을 허용하는 법을 제정했다. 그런데 이번 두 대통령의 공동성명에서 북한의 인권개선이 북미 외교관계에 선행 조건임을 천명하여 미국의 입법부와 행정부가 모두 북한 인권의 큰 관심을 표명한 것은 지극히 다행한 일이다
이제 재미 교포들이 해야 할 중요한 과제는 차기 행정부도 이번 공동성명의 원칙을 변경하지 말고 계승해 나가도록 하는 일이다 차기 대통령은 공화당의 매케인 상원위원이나 민주당의 오바마 상원 위원 중 한 사람이 될 것이다. 그럼으로 우리는 어느 분이 대통령이 되던지 금번 공동성명에 천명된 북한의 핵무기의 완전 폐기와 인권개선이 북미 외교관계 수립에 선행조건이 되도록 호소해야 할 것이다 한국에서 100만 명이 떠드는 것 보다 우리 재미 미국시민 10명의 소리가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명심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투표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애틀랜타의 일부 원로 목사들과 몇 분의 기독교 기관의 지도자들이 이 일에 큰 관심을 가지고 벌써 여러 차례 회의를 가지고 이 과제를 연구해 왔으며 두 대선 후보에게 호소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사실은 매우 고무적이고 다행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모두 힘을 합쳐서 두 대선 후보에게 이번 공동성명의 원칙을 이어 가도록 호소하자.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6 | 나를 새롭게 하소서 [1] | chosun | 2009.12.31 | 4841 |
5 | 올림픽과 중국을 보면서 | 편집실 | 2008.08.20 | 4131 |
» | 부시의 공동 성명을 보며 | 편집실 | 2008.08.08 | 4046 |
3 | 할아버지의 염려 | 편집실 | 2008.08.07 | 3689 |
2 | 유권자 등록 캠페인을 하면서 | 편집실 | 2008.08.01 | 4011 |
1 | 지금은 통일놀음으로 허송세월 할 때가 아닙니다 | 편집실 | 2008.08.01 | 13528 |